4

황태호 군은, 컴퓨터 시스템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 파악 및 역량 증진을 위하여 SAC (ACM/SIGAPP Symposium On Applied Computing) 2018에 참석 하였습니다.

SAC는 ACM 및 SIGAPP에서 주관하는 국제학술대회로서 1년에 한번 씩 개최된다. SAC는 네트워크, 운영체제, 스토리지 시스템, 보안, 모바일 컴퓨팅 등 약 40여개에 이르는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이번 출장을 통해 메이저 학회의 진행 과정 및 발표자의 발표 기술을 배우고, 유명 인사를 만나고, 학회장의 분위기 등 느낄 수 있었다. 학회 중간 쉬는 시간 및 포스터 세션에서 받은 질문 및 대화들은 동기부여가 되었다. 또한 이번 SAC에 우리 연구실에서 제출한 논문이 1편의 구두발표와 2편의 포스터발표로 합격되어, 우리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연구 내용을 다른 사람들과 많이 공유할 수 있었다.

BRIO 포스터 논문을 통해서 모바일 웹브라우저가 많은 IO를 발생시킨다는 내용에 대해서 포스터를 보는 많은 참석자들이 관심을 가졌다.
BRIO 논문에 대한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Q1. 전력 소모에 대한 고려는 없었나?
A1. 현재 BRIO에서는 전력 소모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Q1. 네트워킹으로 인한 전력 소모 보다는 IO로 인한 전력 소모가 많지 않겠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력 소모는 중요하기 때문에, 해당 논문에서도 IO로 인한 전력 소모를 고려하면 좋을 것 같다.
A1. HotStorage 등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에 대한 연구는 많은 것 처럼 차후에 BRIO에서 전력 소모에 대한 고려도 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추후에 전력 소모를 고려하도록 하겠다.

Q2. 자동화 툴로 실험을 진행하였나?
A2. IO trace를 추출하는 것은 별도의 툴로 추출하였고, IO trace를 분석하는 것은 별도의 툴이 아닌 PC용 크롬 웹브라우저의 개발자 모드 기능을 통해서 직접 수행하였다.

Q3. 논문에서 정의한 B-WAF가 많은 웹사이트의 경우 크게 나오는데 B-WAF를 줄일 수 있는 솔루션은 없나?
A3. 우리 연구실에서 나온 많은 연구들이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또는 가장 간단한 예로 논문에서 sqlite의 기본 모드는 persist 모드인데 해당 모드를 wal 모드 등으로 변경하면 B-WAF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Q4. 또한 어떤 문제를 해결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A4. BRIO는 어떤 직접적인 문제를 해결했다기 보다는 모바일 웹브라우저의 특징과 관련하여 기존 네트워크 중심에서 IO관련 특징을 분석하여 공유하는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이번 SAC 2018 학회 참석을 통해서 다양한 국가에서 참석한 사람들의 연구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SAC 학회 참석을 통해서 연구 자세 및 연구에 대한 열정 등을 보고 배울 수 있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