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주성군은 File system에 대한 신 기술들과 유구의 기업들이 투자하는 연구 트랜드를 파악하고 현재 진행중인 Sqlite 연구에 대한 의견을 받기 위하여 2018 USENIX conference on File and Storage Technologies(FAST’ 8)에 참석하였다. FAST’18은 Alibaba, NetApp, Microsoft, Amazon, Google, HUAWEI등 세계적인 IT 기업들이 후원하고 file system consistency, recovery, new media 등의 유수의 논문들을 다루는 저명 학회로 California주의 Oakland에 위치한 Oakland Marriott City Center에서 열리었다.
이번 FAST’18에서 열린 WiP와 Poster 세션에 김선두군과 함께 진행한 Energy Efficient Mobile DB for Wearable Device의 포스터 발표를 함께 하였다. 포스터 발표 중 삼성전자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이 와 주시어 논문의 관심을 주셨고 다양한 의견들을 들을 수 있었다. 먼저 SQlite 커뮤니티의 우리의 Optimization을 검토 받는 것에 대하여 제안해 주었다. 다른 질문으로는 삼성전자의 타이젠 팀과의 협업을 하면 좋은 논문이 될 것이라는 것과, wearable device에서 사용하는 앱이 적은데 mobile과 같인 I/O intensive한 workload가 발생할 지 묻는 의견이 있었다. Wearable device에서의 I/O 발생량은 논문의 당위성에 매우 중요한 점이기에 Trace 결과를 자세히 재검토하여 연구를 진행해야겠다.
테크니션 세션의 논문 중 관심이 있게 들은 것으로는 Protocol-Aware Recovery for Consensus-Based Storage , Ramnatthan Alagappan etal. 이 있다. 이 논문은 원유집 교수님의 barrier enabled IO Stack과 함께 best paper를 받은 논문으로 distributed system에서 storage, 또는 network failure로 인한 corrupt의 복구를 protocol을 인식하여 진행하도록 제안한 논문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recovery 접근법은 corrupt가 발생한 노드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재시작 함으로서 정상적인 노드의 데이터를 복사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여분의 디스크에 IO가 발생하여 commte된 데이터의 copy가 느려진 상태에서 commit된 disk에 corrupt되면 commit된 global data에 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한 protocol을 인지하여 복구를 수행하는 CTRL(Corruption-Tolerant RepLication) 기법을 제안하여 replicated state machine(RSM)에 적용하였다. 이를 적용하면 global data의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worst case 로 SSDs 4%, disks: 8% to10%정도의 적은 성능 overhead만이 발생하였다. 저자에게 4%정도의 성능 저하를 감소하면서 까지 global data의 손실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지를 질문을 하였는데, 발생 확률이 낮더라도 data의 loss를 막는 것은 system level에서 보장해 주어야 하며 오버헤드가 4%로 매우 적은 수준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RFLUSH: Rethink the Flush, Jeseong Yeon etal. 논문은 fsync에 의해 발생하는 Flush의 latency를 줄이기 위해서 disk write back cache의 일부분만 disk surface로 보내도록 하는 논문이다. Rflush의 구현은 LBA의 range를 driver에서 보내도록 하는 것으로 구현하였다. RFlush를 F2FS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을 측정한 결과, throughput은 6.5배, write traffic은 43% 감소시킬 수 있었다. 저자에게 새로운 storage command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하였더니, open channel ssd와 open-source flash development platform 사용하면 쉽게 storage command를 추가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
이번 FAST출장은 여러 학자들의 연구들을 듣고 최근의 연구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또 IT의 본고장인 미국의 실리콘밸리를 처음 방문하고 그들의 일하는 방식과, 문화를 잠시나마 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